티스토리 뷰

도구/n8n

초보자를 위한 n8n 설치 방법

에러창꼬 2025. 2. 25. 20:0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n8n에 대해서 조금씩 다뤄보겠습니다.

n8n이란?

n8n은 워크플로 자동화 도구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자동화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n8n은 'No-Code'와 'Low-Code' 방식으로 복잡한 자동화 워크플로를 시각적 인터페이스로 구축할 수 있게 해 줍니다. 흔히들 개발자들이 코드를 작성하여 만드는 자동화 작업들을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시각적으로 쉽게 작성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셀프호스팅으로 무료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주요 특징

오픈소스: 커뮤니티 기반으로 개발되며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셀프 호스팅: 자체 서버에 설치하여 데이터를 완전히 제어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통합: 200개 이상의 서비스와 통합이 가능합니다.
시각적 워크플로 에디터: 노드 기반 인터페이스로 직관적인 워크플로 구성이 가능합니다.
유연한 확장성: 사용자 정의 노드를 개발하여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n8n 설치 (NPM 사용)

일단 윈도우 환경에서 가장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은 node.js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Node.js — 어디서든 JavaScript를 실행하세요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위 사이트에서 node.js를 다운로드하여서 설치해 줍니다.

설치가 끝나면 NPM을 사용하여 다음 명령어로 n8n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npm install n8n -g

설치 후, 다음 명령어로 n8n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n8n

구동이 되면 http://localhost:5678로 접속하시면 됩니다.

도커를 이용한 설치 (윈도우)

도커를 이용해서 설치하는 경우 도커 데스크탑에서 설치하는 것이 편리한데요.

도커 데스크탑 상단에서 n8nio/n8n 검색
<도커 데스크탑 상단에서 n8nio/n8n 검색>
n8nio/n8n 다운로드
<n8nio/n8n 다운로드>

나오는 Images 검색 결과에서 n8nio/n8n을 Pull 버튼을 눌러서 받아줍니다. 그리고 다 받아지면 Run 버튼을 클릭합니다.

Optional setting을 펼쳐서 Container name과 Host port를 입력해 줍니다.

n8n Run
<n8n Run>

혹시 500 에러가 발생한다면 Host port를 변경해 보시길 권합니다.

설정을 하셨으면 다시 한 번 Run 버튼을 클릭합니다.

로그가 뜨고 정상적으로 구동이 되면 나오는 URL을 인터넷에 입력합니다.

보통 http://localhost:<설정한 호스트 포트>로 접속하면 됩니다.

ex) http://localhost:5678

도커 구동 후 로그
<도커 구동 후 로그>

 

도커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기에 개인적으로는 NPM 방식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