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nrmZZ/btszkTsXL85/hEhMkfZkhNKMoJyQkJ9a9k/img.jpg)
안녕하세요. 최근에 취미로 아두이노(arduino) 보드를 구매했습니다. 기존에 가지고 놀던 라즈베리 파이가 이미 있기에 정말 간단한 기능을 만들어서 놀기 위해 비교적 저렴한(?) 아두이노 프로 마이크로를 구매했는데요. 오늘은 해당 기판에서 Hello World를 찍어봤습니다. 아두이노 보드에서 Hello World! 출력 새로운 언어나 환경에서 개발을 시작하면 무언가를 출력함으로써 개발환경이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는데요. 이때 가장 많이 찍는 게 Hello World!입니다. 저 역시 첫 아두이노 개발을 시작하면서 한 번 찍어봤습니다. void setup() { // put your setup code here, to run once: Serial.begin(9600); } void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KXXTa/btrLgvGSwAJ/qvQcvyO3wKrYR3VHPFmeak/img.jpg)
상황 스프링으로 API 개발 중 WAS를 올리는 중 발생하였습니다. 전체 에러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Ambiguous mapping. Cannot map '*Controller' method ~ {URL} ~ There is already '*Contrtoller' bean method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handler.AbstractHandlerMethodMapping$MappingRegistry.validateMethodMapping(AbstractHandlerMethodMapping.java:669) ~[spring-webmvc-5.3.20.jar:5.3.20] at org.springfram..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vc5CC/btrJBK1e3Rt/jlZSTZvWPJTWXmuZqX6AMK/img.jpg)
상황 오랜만에 스프링 부트로 API 개발이 필요하여 이클립스(STS)를 다운로드하였습니다.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를 import 하고 실행하니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콘솔 버퍼 사이즈 설정 값이 낮아서 성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경고창입니다. 친절하게 설정하는 방법도 나와있네요. 아래에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해결방법 콘솔 설정 화면에 들어가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어떤 방법을 사용하셔도 무관합니다. 메뉴 창 > Windows > Preferences > Run/Debug > Console 콘솔 창 > 톱니바퀴 아이콘 클릭 > Run/Debug > Console 그리고 콘솔 버퍼 사이즈 설정 방법도 두 가지가 있습니다. Limit console output 체크박스 해제 Conso..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n6mSX/btrGrXXaNmI/iVUD2g12ml7H0SpRNGgBbK/img.png)
R에서 데이터 분석을 위해 파일을 읽어오는 중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Error: '\U' used without hex digits in character string starting ""C:\U" 확인 결과 파일 경로를 복사 붙여넣기 하면서 C:\Users\yddev\Documents\2021.csv에서 빨간 표시를 한 부분에서 발생한 문제고 다음과 같이 해결 가능합니다. \\ 사용하기 read.table("C:\\Users\\test\\Documents\\2021.csv") / 사용하기 read.table("C:/Users/test/Documents/2021.csv") 오랜만에 R을 켜서 그런지 경로를 슬래시(/)를 사용하거나 백슬래시(\\) 두 개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까먹어서 잠깐..